본문 바로가기

보딘

(2)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보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특성-요인이론과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을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특성-요인 접근법처럼 사람과 직업을 연결시키고자 하고, 내담자 중심 접근법처럼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때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의 접근법을 많이 따른다. 보딘은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과정을 3단계로 제시하였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대비 :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을 구체화시킨 보딘의 직업상담 과정)1단계(탐색과 계약설정) : 내담자의 정신역동적 상태에 대해 탐색하고 상담전략에 대한 합의를 한다2단계(핵심결정) : 내담자는 자신의 목표를 성격 변화 등으로 확대할 것인지 고민한다3단계(변화를 위한 노력) : 내담자는 자아 인식 및 자아 ..
직업선택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유형(윌리암슨, 보딘, 크라이티스) 내담자가 직업선택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이유에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자신의 선택이 중요한 타인들에게 미치는 영향, 완벽을 추구하는 욕구, 성급한 결정을 내리고 싶은 유혹, 우유부단함으로 인해 얻는 이점, 다양한 분야에 대한 관심, 자신이 선택하고자 하는 직업 중에 좋은 직업이 없음 등이 있다. 윌리암슨(Williamson)과 보딘(Bordin), 크라이티스(Crites)는 직업선택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유형을 분류하였다. 윌리암슨은 특성-요인 직업상담을 체계화했는데, 직업선택 문제유형을 네 가지로, 즉 직업 무선택 또는 미선택, 직업선택의 확신부족, 흥미와 적성의 불일치, 현명하지 못한 직업선택으로 분류한다.(직업상담사 2급 실기 시험 대비 : ‘윌리암슨이 분류한 직업상담의 문제유형을 3가지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