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업상담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보딘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특성-요인이론과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을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특성-요인 접근법처럼 사람과 직업을 연결시키고자 하고, 내담자 중심 접근법처럼 내담자의 내적 세계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때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의 접근법을 많이 따른다.

 

보딘은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과정을 3단계로 제시하였다.

 

<보딘의 직업상담 과정>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대비 : 정신역동적 직업상담 모형을 구체화시킨 보딘의 직업상담 과정)

  • 1단계(탐색과 계약설정) : 내담자의 정신역동적 상태에 대해 탐색하고 상담전략에 대한 합의를 한다
  • 2단계(핵심결정) : 내담자는 자신의 목표를 성격 변화 등으로 확대할 것인지 고민한다
  • 3단계(변화를 위한 노력) : 내담자는 자아 인식 및 자아 이해를 확대해 나가며, 지속적인 변화를 모색한다

 

보딘은 상담 과정에서 명료화, 비교, 소망-방어체계에 대한 해석이라는 상담기법을 사용한다

 

<보딘의 상담기법>

  • 명료화 : 내담자의 문제와 관련된 생각을 언어적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명료화해 준다. 이때 명료화는 개방형 질문, 단순화된 진술 등의 형태를 취한다
  • 비교 : 두 가지 이상의 주제들과 관련한 현상들을 유사성 또는 차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비교하는 것
  • 소망-방어체계에 대한 해석 : 내담자의 내적 동기와 진로결정 과정 사이의 관계를 해석하여 내담자가 자각하도록 도와주는 것

 

보딘은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검사를 실시할 때, 내담자가 어떤 검사를 하면 좋을지를 내담자와 함께 고르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검사는 내담자를 진단하고, 내담자가 직업상담에 대해 현실적인 기대를 가질 수 있도록 돕고, 내담자가 평가자료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게 하고, 내담자가 보다 깊은 자기 탐색을 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신역동적 직업상담은 직업선택을 하는 데 있어 내적인 요인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외적인 요인의 영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를 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직업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성-요인 직업상담  (0) 2025.05.11
내담자중심 직업상담  (0) 2025.05.11
발달적 직업상담  (0) 2025.05.11
행동주의 직업상담  (0) 2025.05.11
인지·정서·행동적 상담(REBT)  (0) 2025.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