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리학

(3)
좋지 않은 논증 논증은 주장하는 명제(주장/결론)와 이를 뒷받침하는 명제(전제/근거)로 구성된다.(참조 : 논증이란 무엇이고 논증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그러나 주장과 근거로 이루어진 논증처럼 보일지라도 그 논증이 좋은 논증이 아닐 수도 있다. 안 좋은 논증○ 나에게만 설득력 있는 근거를 전제로 사용하는 경우 ○ 이치에 맞지 않는 명제를 전제로 사용하는 경우○ 이치에 맞지 않는 주장을 하는 경우 : 아무리 올바른 명제를 전제로 사용할지라도, 주장하는 바가 이상하거나 애매할 경우 그것은 올바른 논증이라고 할 수 없다.○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경우(연역논증) : 전제와 주장이 문제가 없어도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 좋은 논증이라고 할 수 없다. 연역논증의 경우, 타당한 연역논증과 타당하지 않은 연역논증으로 좋은 ..
참고_논증이란 무엇인가 논증을 이루는 명제는 (일반적으로) 평서문이다. 왜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 등은 명제가 아닐까? 의문문, 감탄문, 명령문의문문, 감탄문, 명령문은 참 혹은 거짓을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사적 의문문은 예외에 해당한다. 즉 수사적 의문문은 명제를 표현한다. * 수사적 의문문(rhetorical question) : 문장의 형식은 물음을 나타내나 답변을 요구하지 않고 강한 긍정 진술을 내포하고 있는 의문문 ex) 짱구가 약속 시간에 맞춰 오겠어? = 짱구는 약속 시간에 맞춰서 오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수사적 의문문은 명제가 될 수 있고, 그래서 논증의 전제나 결론이 될 수 있다. 평서문참 혹은 거짓을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평서문에 대해서이다. 그래서 ..
논증이란 무엇이고 논증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논증이란 무엇인가?논증이란 우리가 어떤 주장을 할 때, 그 주장에 설득력을 부여하기 위해서 근거들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논증이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어떤 것을 주장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고, 내가 말하는 것이 ‘참’이라는 사실을 근거들을 사용해서 입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논증은 주장을 담고 있는 명제와 주장에 대한 근거를 뒷받침하는 명제들로 이루어진다. 논증A(근거) → B(결론)A(근거), B(근거) → C(결론)A(근거), B(근거), C(근거) → D(결론)논증은 일련의 명제로부터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므로, 만일 어떤 문장들의 모음이 있는데 그 중 어떤 문장이 ‘따라서’로 시작한다면, 그때 그 문장들의 모음은 논증이라고 할 수 있다. * ‘따라서’와 같은 역할을 하는 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