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은 어떤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그 과정이 조금씩 달라진다.
5단계에 걸쳐 직업상담을 하는 경우도 있고, 2단계, 8단계에 걸쳐 상담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5단계1 | 일반적인 5단계2 | 2단계 | 8단계 | |
1단계 | 관계형성과 구조화 | 관계수립 및 문제평가 | 문제 확인 및 명료화 | 준비와 시작 |
2단계 | 진단 및 측정 | 상담목표 설정 | 문제 해결 | 명료화 |
3단계 | 목표설정 |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 구조화 | |
4단계 | 개입 또는 중재 | 훈습 | 상담관계(라포) 심화 | |
5단계 | 평가 | 종결 및 추수지도 | 탐색 | |
6단계 | 견고화 | |||
7단계 | 계획수립 및 검토 | |||
8단계 | 종료 |
일반적으로 직업상담은 5단계를 거친다.
그 중 한 가지 방법은 1) 관계형성과 구조화, 2) 진단 및 측정, 3) 목표설정, 4) 개입 또는 중재, 5) 평가로 이루어진다. 세부적으로 각 단계는 다음을 행한다.
<일반적인 5단계 직업상담1>
- 관계형성과 구조화 : 내담자와 상담을 하기 전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구조화를 하는 단계이다. 구조화란, 상담자와 내담자가 직업상담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무엇을 할지를 서로 이야기하는 과정을 말한다
- 진단 및 측정 : 심리검사를 통해 내담자의 흥미, 가치, 적성, 개인 특성 등을 파악한다
- 목표설정 : 직업상담의 목적이 단순히 직업을 구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발전과 개발에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고, 내담자와 함께 목표를 정한다.
- 개입 또는 중재 : 내담자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개입하거나 중재한다
- 평가 : 내담자가 목표한 바에 도달했는지 등을 평가한다
다른 한 가지 방법은 1) 관계수립 및 문제의 평가, 2) 상담목표의 설정, 3)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4) 훈습, 5) 종결 및 추수지도로 이루어진다. 세부적으로 각 단계는 다음을 행한다.
<일반적인 5단계 직업상담2>
- 관계수립 및 문제의 평가 : 내담자와 상담을 하기 전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내담자가 직업과 관련하여 가진 문제들을 평가한다
- 상담목표 설정 : 내담자와 함께 상담의 목표를 정한다
-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 내담자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직업정보를 수집하거나 내담자가 가진 기술을 파악하거나 과제를 부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내담자의 목표달성을 돕는다
- 훈습 : 개입 과정의 연장으로 상담과정에서 배운 것을 공고히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재확인 하는 것이다
- 종결 및 추수지도 : 내담자가 목표한 바에 도달했는지 등을 평가하고, 필요할 경우 추가적인 상담이나 도움을 준다.
'직업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상담의 장점과 단점 (0) | 2025.05.11 |
---|---|
내담자 중심 상담 (0) | 2025.05.11 |
직업상담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0) | 2025.05.11 |
직업상담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 (0) | 2025.05.11 |
직업상담이란? (0) | 2025.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