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제의 종류
명제의 종류에는 부정명제, 연언명제, 선언명제, 조건명제가 있다.
기호 | 의미 | |
부정명제 | ~p | p가 아니다 |
연언명제 | p∧q | p이고 q이다 |
선언명제 | p∨q | p이거나 q이다 |
조건명제 | p→q | 만약 p라면 q이다 |
선언명제
선언명제는 선언문, 선언지로 불린다.
선언명제는 두 가지 명제를 ‘또는’으로 이어 놓은 명제를 말한다.
선언명제는 p∨q, p∪q로 표시한다.
(중요) 논리학에서 선언명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포괄적 선언을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A 또는 B를 말하는 경우, 둘 중 하나만을 택하라는 의미로 쓰인다.(배타적 선언명제)
그러나 논리학에서 말하는 선언명제란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포괄적 선언명제를 말하며, 이때 선언명제가 의미하는 것은 둘 중 하나만을 택하라는 것이 아니라, '둘 중 하나'를 택해도 되고 '두 가지 모두'를 택해도 된다는 것이다.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한다 = p
- 춘식이는 라이언을 좋아한다 = q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하거나 라이언을 좋아한다 = p∨q
선언명제의 참과 거짓
선언명제는 p와 q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참이면 참이다.
명제 p가 참이고 명제 q가 참인 경우, p∨q은 참이다.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한다 = 참
- 춘식이는 라이언을 좋아한다 = 참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하거나 라이언을 좋아한다 = 참 (춘식이가 고구마도 라이언도 좋아하니까)
명제 p가 참이고 명제 q가 거짓인 경우, p∨q는 참이다.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한다 = 참
- 춘식이는 라이언을 좋아한다 = 거짓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하거나 라이언을 좋아한다 = 참 (춘식이가 라이언을 좋아하지는 않지만, 고구마는 좋아하니까)
명제 p가 거짓이고 명제 q가 참인 경우, p∨q는 참이다.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한다 = 거짓
- 춘식이는 라이언을 좋아한다 = 참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하거나 라이언을 좋아한다 = 참 (춘식이가 고구마를 좋아하지는 않지만 라이언은 좋아하니까)
명제 p가 거짓이고 명제 q가 거짓인 경우, p∨q는 거짓이다.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한다 = 거짓
- 춘식이는 라이언을 좋아한다 = 거짓
- 춘식이는 고구마를 좋아하거나 라이언을 좋아한다 = 거짓 (춘식이가 고구마도 라이언도 좋아하지 않으니까)
선언명제의 진리표
p | q | p∨ q |
T | T | T |
T | F | T |
F | T | T |
F | F | F |
'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역논증_타당한 논증 형식_전건긍정법 (0) | 2023.11.14 |
---|---|
연역논증_조건명제 (0) | 2023.11.08 |
연역논증_연언명제 (0) | 2023.11.06 |
연역논증_부정명제 (0) | 2023.11.03 |
연역논증_명제의 종류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