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리학

연역논증의 타당성과 건전성

연역논증의 타당성

 
연역논증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도 반드시 참인 경우 타당하다고 평가된다.
 
그런데 연역논증은 타당성만으로 좋은 논증일 수는 없다.
 
연역논증의 타당성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반드시 참인지로 평가되므로, 즉 형식적으로 그 논증이 올바른가로 평가되므로, 실제로 연역논증으로 이끌어 낸 결론이 참인지와 무관하게 형식만 올바르다면 타당하다고 평가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증은 일련의 근거들을 통해서 내가 하고자 하는 어떤 주장이 참이라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 행해진다.(논증이란 무엇이고 논증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만약 어떤 연역논증이 타당하다고 할지라도 결론이 거짓이라면, 이것은 논증의 목적, 즉 나의 주장이 참이라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연역논증의 타당성과 건전성

 
그러므로 연역논증은 타당성과 더불어 건전할 필요가 있다.
 
이때 연역논증의 건전성은 논증을 구성하는 명제의 참과 관련이 있다.
 
연역논증이 형식적으로 타당함에도 불구하고 결론의 명제가 거짓이기 때문에, 논증을 수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는 것은 논증의 전제를 이루는 명제 중에 실제로 거짓인 명제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연역 논증을 할 때, 전제에 참인 명제를 사용해야 한다.
 
 
연역논증의 건전성

  • 연역논증의 건전성 = 타당성 + 참인 전제

'논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역논증_부정명제  (0) 2023.11.03
연역논증_명제의 종류  (0) 2023.11.02
연역논증의 타당성  (0) 2023.10.31
연역논증과 귀납논증의 구분  (0) 2023.10.30
참고_다양한 개념 정의 방법  (0) 2023.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