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
행동주의 직업상담
투니_
2025. 5. 11. 11:03
행동주의 직업상담은 직업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과정만을 다루는데, 이것은 기존의 직업상담들이 과정보다 내용을 다루는 것과 차이가 있다.
행동주의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행동을 학습된 행동으로 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내담자의 부적응적 행동을 바람직한 행동으로 대치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그래서 내담자의 직업 의사결정에 있어 원인이 되는 불안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자 하며, 새로운 적응행동을 학습시키고 직업결정기술을 습득시키고자 한다.
굿스타인은 내담자가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것이 불안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이때 두 가지 유형, 즉 우유부단형과 무결단성형으로 나뉠 수 있다고 한다.
우유부단
- 내담자가 제한된 경험과 정보 부족으로 인해 직업선택시 문제가 발생하는데, 내담자는 자신의 직업발달이 미성숙하다는 데서 불안을 느낀다
- 이때 불안은 우유부단의 결과이다
- 내담자가 우유부단형에 해당하는 경우, 도구적 학습을 통해 직업선택에 요구되는 반응을 내담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무결단성
- 내담자의 직업선택에 대한 불안이 오래 지속됨으로써 무결단성이 생겨나는데, 이때 내담자는 타인에 의해 직업을 선택하는 등 직업선택에 있어 무력감을 경험한다
- 불안은 직업 무결정성의 선행요건이자 결과이다.
- 내담자가 무결단성에 해당할 경우 상담자는 내담자의 불안을 제거한 후 도구적 학습을 통해 직업선택에 요구되는 반응을 내담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불안감소기법으로는 체계적 둔감화, 금지조건형성(내적 금지), 반조건형성(역조건형성), 홍수법, 혐오치료, 주장훈련, 자기표현훈련이 있고, 학습촉진기법으로는 강화, 변별학습, 사회적 모델링과 대리학습, 행동조성, 토큰경제(상표제도)가 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대비 : <행동주의 상담의 기법으로 적응행동을 증진시키는 기법 3가지>, <행동주의 직업상담의 상담기법 중 불안감소기법 유형 3가지와 학습촉진기법 유형 3가지>)
<행동주의 직업상담 불안감소기법>
- 체계적 둔감화(Systematic Desensitization) : 불안 자극에 대해 위계목록을 작성한 다음 낮은 수준의 자극에서 높은 수준의 자극으로 상상하게 함으로써 불안에서 벗어나게 함
- 금지조건형성(Inhibitory Conditioning) : 내담자가 불안을 느낄 만한 단서를 추가적 강화없이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점차적으로 불안반응을 느끼지 않게 하는 것
- 반조건형성(Counterconditioning) : 조건 자극과 새로운 자각을 함께 제시하여 불안을 감소시키는 기법
- 홍수법 : 불안을 발생시키는 자각들을 현실이나 상상 속에서 지속적으로 제시하는 기법
- 혐오치료 :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혐오 자극을 제시하여 부적응적 행동을 제거하는 기법
<행동주의 직업상담 학습촉진기법>
- 강화 : 내담자의 직업 선택에 대해 적절하게 긍정적 반응 또는 부정적 반응을 보여 내담자의 바람직한 행동을 강화시키는 것
- 사회적 모델링과 대리학습 : 내담자가 타인의 직업결정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
- 토큰경제(상표제도) : 바람직한 행동들에 대한 목록을 정하고 그 행동을 할 때마다 보상을 해주는 기법
행동주의 직업상담은 내담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촉진시킨다는 장점이 있으나, 불안에 대한 이해를 할 방법과 불안을 규명하는 방법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