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상담

내담자중심 직업상담

투니_ 2025. 5. 11. 11:03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은 패터슨(특성-요인 직업상담의 패터슨이 아님)의 개념화 작업에 의해 직업상담 접근법 중 하나가 된다.

 

특성-요인 직업상담이 지시적 상담이라면,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은 비지시적 상담이다.

또한 특성-요인 직업상담이 개인을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고 보는 반면, 내담자 직업상담은 각 개인은 개별적이며 독특하다고 본다.

 

<내담자중심 직업상담과 특성-요인직업상담>

(직업상담사 2급 실기 : 내담자중심 직업상담과 특성-요인직업상담 차이)

내담자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내담자는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부족하다
내담자는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담자가 내담자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담이 비지시적이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이루어진다 상담이 지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내담자의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객관적인 자료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객관적인 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내담자의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있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형성이 절대적이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형성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상담 이전에 심리진단이 필요하지 않다 상담 이전에 심리진단이 필요하다

 

 

내담자중심 상담의 목적은 내담자가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이 되는 것, 즉 내담자가 자기 실현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내담자중심 상담의 목적은 반드시 내담자의 자기 실현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다만, 내담자중심 직업상담도 직업선택이나 진로선택에 있어서 그 선택들이 내담자의 자아와 일치하는 정도가 중요하다.

 

이러한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에서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태도는 내담자중심 상담에서 상담작 갖추어야 할 태도와 같다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태도>

(직업상담사 2급 실기 대비 : 내담자 중심 접근법을 사용할 때 직업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3가지 기본 태도 설명)

 

  • 일치성과 진솔성 : 상담자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내담자의 진솔한 감정 표현을 유도해야 한다
  • 공감적 이해와 경청 : 상담자는 공감적 이해와 경청을 통해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경험하고 내부의 불일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무조건적인 긍정적 수용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아무런 조건 없이 수용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내담자 중심상담의 대표적인 학자인 로저스는 상담에서 검사를 사용하는 것이 내담자의 방어적 태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자기수용과 책임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반대하였다.

 

반면 일부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자들(패터슨도 포함됨)은 내담자의 자기 명료화를 위해서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때 검사해석이나 직업정보의 활용은 기본적으로 내담자 중심상담의 태도를 따른다.

 

<검사해석 원리 및 직업정보 활용 원리>

(직업상담사 2급 실기 : 내담자중심 직업상담에서 검사해석 원리)

  • 내담자의 입장에서 필요할 때 제공
  • 내담자에게 영향을 주거나 내담자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 금지
  • 내담자 스스로 얻도록 격려
  • 직업에 대한 내담자의 감정과 태도가 자유롭게 표현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