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학

올바르지 않은 논증

투니_ 2023. 10. 18. 16:44

논증은 주장하는 명제(주장)와 이를 뒷받침하는 명제(전제)로 구성된다.

(참조 : 논증이란 무엇이고 논증을 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그러나 주장과 전제로 이루어진 논증처럼 보일지라도 그 논증이 올바르지 않을 수 있다.

(이후의 글들에서 올바르지 않는 논증이 종종 논의될 것이다.)

 

올바르지 않은 논증을 간단하게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올바르지 않은 논증

○ 나에게만 설득력 있는 명제를 전제로 사용하거나, 이치에 맞지 않는 명제를 전제로 사용하는 경우

    논증처럼 보일지라도 전제가 터무니없다면, 그것은 올바른 논증이라고 말할 수 없다.

○ 이치에 맞지 않는 주장을 하는 경우

    아무리 올바른 명제를 전제로 사용할지라도, 주장하는 바가 이상하거나 애매할 경우 그것은 올바른 논증이라고 할 수 없다.

 

이때 주장을 할 때,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 다음과 같다.

 

주장을 할 때 볼 수 있는 오류(케빈 리, 『논리학 사용설명서』참조)

  • 흑백논리의 오류 : ‘이것이 아니라면 저것’이라고 방식으로 생각해서 생기는 오류
  • 의도 확대의 오류 : 상대방의 의도를 확대 해석해서 생기는 오류
  • 은밀한 재정의의 오류 : 용어를 자기 마음대로 다시 해석해서 생기는 오류
  • 원천 봉쇄의 오류 : 내가 하는 주장과 다른 상대방의 생각은 틀렸다고 생각하여 반론의 기회도 주지 않고자 하는데서 생기는 오류
  • 애매문의 오류 : 주장에 여러 가지 의미가 있어서 생기는 오류
  • 애매어의 오류 : 문장 내 단어에 여러 가지 의미가 있어서 생기는 오류